[IBM C:LOUDERs] 쿠버네티스 시작하기
도커 컨테이너*, 도커 스웜, 도커 컴포즈 등의 유용한 도구 외의 이러한 개념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쿠버네티스(Kubernetes)가 있다. 쿠버네티스는 특히 수많은 컨테이너를 관리할 때 유용하다. 쿠버네티스의 장점으로는 크게 4가지가 있다.
*컨테이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종속성 요소(런타임, binary 파일, 라이브러리, 데이터와 같은 것)를 패키징하는 것을 뜻한다.
- CNCF와 쉽게 연동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 이용률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게 한다.
- 컨테이너 기반의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쿠버네티스를 시작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먼저 자체 서버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는 방법과 외부 클라우드 비즈니스 업체(플랫폼)에서 관리되는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모든 인프라를 관리해야 하므로, 운영 및 유지 보수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관리와 운영 및 유지 보수를 플랫폼 사업자가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다.
IBM이 제공하는 Cloud 서비스에는 쿠버네티스 서비스도 있다. 몇 분 만에 작업 공간을 만들어서 시작할 수 있다고 하니, 쿠버네티스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시도해봄직하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는 IBM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통해 자체 쿠베르네츠 클러스터를 스핀업하고, 작업자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시작할 수 있다.
https://cloud.ibm.com에 접속하여, Cloud 프로젝트 중에서 Kubernets를 검색하면 아래 그림의 웹페이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단, 쿠버네티스의 무료 버전 서비스는 Lite 계정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무료 사용량 이상의 사용량에 대해서 지불하는 계정 상태인 종량과금제 계정 상태여야 한다(사용자의 신용카드를 등록해야 함). 무료 버전 서비스는 사용자가 쿠버네티스의 기능을 탐색할 수 있게 하며, 1명의 작업자 노드를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가 IBM Cloud Shell을 통해 사용자의 클러스터를 연결하여 자신의 서비스를 배포하면 된다.